티스토리 뷰
목차
서울시는 서울시 거주 20~23세 청년들에게 연 20만 원의 문화관람비를 지원하는 '서울청년문화패스'사업을 진행하면서 2025. 2. 24(월) ~ 3. 18(화) 18:00까지 신청을 받고 있으니, 놓치기 아쉬운 문화혜택의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
'서울청년문화패스' 사업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20~23세 청년들에게 공연(뮤지컬. 연극, 클래식. 오페라, 발레. 무용, 국악)과 전시 관람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분야 활성화를 위해 문화이용권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3월 18일(화)까지 참여자 27,000여명을 모집합니다
특히, 올해부터는 군 복무로 인해 문화예술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웠던 청년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'서울청년문화패스' 사업의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
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더 많은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연간 20만 원의 문화관람비를 지원해 주는 '서울청년문화패스' 사업의 지원대상자 요건과 지원내용,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
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지원대상자
올해 '서울청년문화패스'사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원대상자는 아래의 연령요건, 거주요건, 소득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하며, 참여자 모집인원은 27,000여명입니다
1. 연령요건
20세~23세 청년(2002년~2005년 출생자)
① 올해부터 '의무복무 제대군인'의 연령 가산제를 실시하여 군 복무로 인해 문화예술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웠던 청년들의 문화향유권을 균형 있게 보장하게 됩니다
② 의무복무 제대군인에게 최대 3년까지 연령을 가산하여 1999년생까지 참여 신청할 수 있게 됩니다
※ 1년 이하 복무기간 : 1세(2001년생), 1년~2년 미만의 복무기간 : 2세(2000년생), 2년~5년 미만의 복무기간 : 3세(1999년생) 추가 지원합니다
2. 주거요건
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, 외국인등록대장상 서울 거주
3. 소득요건( 2025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)
① 생애 최초 수혜자 : 중위소득 150% 이하
② 기존 수혜자 : 중위소득 120% 이하
신청 시 기재한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통해 주민등록사실여부(연령 및 서울거주) 및 건강보험료 부과내역(중위소득 150% 이하) 확인을 거쳐 대상자를 선정하고, 본인이 납부하고 있으면 본인납입 건보료 기준을 적용하고, 본인이 피부양자로 되어 있으면 부양자 납입 건보료 기준을 적용합니다
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지원내용
서울청년문화패스의 지원내용은 공연과 전시 관람에 사용할 수 있는 1인당 연간 20만 원 상당의 문화이용권(카드)을 지급합니다
1. 관람분야
공연(연극, 뮤지컬, 클래식, 오페라, 무용, 국악) 및 전시
2. 관람방법
서울청년문화패스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연에 한해 예매 후 관람 가능
3. 예매기준
예매 건당 7만 원 이내 사용 가능
4. 지원절차
신청(온라인) → 자격확인. 선정 → 카드발급(비대면) → 사용(결재)
(※ 신한은행 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필수)
5. 지원기간
카드 발급일로부터 2025. 12. 31. 까지
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
1. 신청기간
2025. 2. 24(월) 09:00 ~ 3. 18(화) 18:00까지
2. 신청방법
① 청년 몽땅 정보통에서 온라인 신청 및 접수
② 2025년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시 '디지털 바우처 청년 체험단' 참가 신청 가능
3. 결과발표
2025. 4. 14(월) 청년 몽땅 정보통 마이페이지 신청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고, 선정자는 핸드폰 SMS 개별통보 됩니다
2025 서울청년문화패스 유의사항
1. 모집인원을 초과하였을 경우 1인당 건보료 부과내역 평균이 낮은 자 순으로 선정합니다
2. 사업 신청 및 접수 모두 청년 몽땅 정보통에서 온라인으로 처리되며, 등록한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사실과 다를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
3. 신청 내용이 자격 요견에 적합하지 아니한 경우, 착오 및 부정하게 신청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지원 취소 및 환수 조치될 수 있습니다
4. 연말까지 사용하지 않은 포인트는 자동 소멸됩니다